제7대 후반기 부산시의회 기획행정위 1년 성과

최성일 기자 / csi346400@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8-01-16 14:51:06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귀 기울이도 한 발 더 뛰고… 시민 눈높이 민생정책 제안 활발
1년간 조례안 29건 등 총 41건 안건 심사
주요사업 추진현장 방문·점검활동 광폭행보
청년일자리·홀몸노인등 사회문제 해소 온힘
▲ 지난해 2월27일 개최된 시의회와 함께하는 청년정책 활성화를 위한 토론회.
[부산=최성일 기자]부산시의회 기획행정위원회는 제7대 의회가 본격적으로 후반기 활동에 나선 2017년 한해 동안 부산시의 살림살이를 책임지는 핵심부서들의 업무를 감독하고 점검하는 조언자로서 시의 재정·행정 전반에 관한 사안들을 집중적으로 다뤘다.

지난해 한해 동안 ▲총 41건의 안건을 심사하고 ▲주요사업 추진현장을 방문해 점검했으며, ▲상·하반기 의정자문회의 개최· ▲부산발전연구원과의 원탁회의 개최, ▲청년정책 활성을 위한 토론회 실시와 같은 다양한 활동을 통해 부산시민들의 눈높이에서 부산시의 정책방향을 모색하고, ▲청년기본조례 심의 등 시민생활안정과 관련된 다양한 정책을 심의하고 제안했다.

이에 <시민일보>는 시의회의 지난 1년 성과에 대해 살펴본다.

■ 내실을 갖추다··· 위원회 본연의 역할 충실

기획행정위원회는 제259회 임시회에서 ‘2017년도 공유재산관리계획 제1차 변경계획안’ 심사를 시작으로 2017년 12월21일 제266회 정례회까지 지난해 한해 동안 조례안 29건, 동의·승인안 10건, 건의·결의안 2건 등 총 41건의 안건을 심사했다. 이 외에도 행정사무감사, 상·하반기 업무보고 청취, 예산안 심사, 결산검사 등 활발한 위원회 활동을 실시했다.

기획행정위원회는 부산시의 재정·회계, 조직·인사, 감사, 언론·홍보 등과 같이 시의 살림살이를 책임지는 부서들의 업무를 점검하고 조언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시의 공유재산 관리계획 변경계획안 심사를 위해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벡스코 부대시설 개발사업 부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정관 폐기물처리시설, 글로벌빌리지 등 23곳을 방문해 부산시의 주요사업을 점검했다.

이와 더불어 지난해 9월 북한의 제6차 핵실험 도발과 관련해 지역 차원의 대응 필요성에 따라 제264회 임시회에서 ‘북한의 핵실험 규탄 결의안’을 제안하고 채택했으며, 제266회 정례회에서는 정부의 2018년 예산편성에서 복지사업 규모 확대로 지방재정의 부담이 늘어남에 따라 지방재정 건전성을 확보하고자 '국고보조사업 신규도입·확대에 따른 지방비 부담 완화 건의안'을 제안·채택하는 등 선임 상임위원회로써 국제상황과 정부정책 여건 변화에 대해 시의회가 부산시민의 민의를 즉각적으로 대변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 귀를 기울이다··· 함께 고민하는 의정활동

기획행정위원회는 급변하는 사회의 흐름에 뒤쳐지지 않고 지역사회의 발전을 위해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작년 한 해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우선 각계 시민 전문가들의 조언을 듣고 의정에 활용하고자 분야별 전문가를 초청해 상·하반기에 걸쳐 두 번의 의정자문위원회를 개최했다. 지난해 상반기에는 5월 대통령 선거에 대비해 ‘부산 관련 대선공약에 따른 부산시의 대응전략’을 살폈고, 하반기에는 지방분권의 필요성이 점차 부각됨에 따라 ‘지방분권시대, 지방의회의 역할과 과제’라는 주제를 통해 선제적으로 지방의회의 역할과 올바른 지방분권 정착에 있어 해결해나가야 할 과제와 그 해법에 대해 논의했다.

이 외에도 지난 2월에는 ‘시의회와 함께하는 청년정책 활성화를 위한 토론회’를 개최해 관계 공무원과 부산발전연구원·일반시민들을 초청해 부산형 청년정책의 방향을 모색하고 부산 청년들의 생각과 고민을 나누는 시간을 가지기도 했다.

또한 지난 11월에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부산의 신성장 동력산업 전략·부산지역 주력 제조업의 스마트팩토리 확대 방안을 정착하고 제도화하기 위해 ‘4차 산업혁명과 부산의 대응방안’이라는 주제로 원탁회의를 개최해 부산발전연구원과 함께 부산시와 시의회의 역할에 대해 머리를 맞대기도 했다.

■ 한 발 나서다··· 시민생활 위한 정책 지원

기획행정위원회는 시민생활 지원과 사회문제 해소에 적극적으로 나서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청년디딤돌플랜은 부산시에서 청년들의 취업과 생활안정을 위해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 청년생활안정지원사업이다. 기획행정위원회는 제261회 임시회에서 이에 근거가 되는 청년기본조례를 심의하고 통과시켰다. 앞서 기획행정위원회는 일반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부산시 청년지원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청년기본조례 제정을 위한 공청회’를 개최하기도 했다.

특히 기획행정위원회 소속 박광숙 의원은 시민생활과 관련된 정책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 왔으며, 지난해 12월 ‘홀로 사는 노인 공동거주시설 조례’를 발의해 고령화로 인해 미래에 예상되는 고독사·각종 노인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노인공동생활 문화의 정착을 지원하는 제도의 기반을 마련했다.

또한 그는 제265회 임시회 시정질문에서 저출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시의 적극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등 여러 차례에 걸친 5분발언과 시정질문을 통해 지역 출산 제고를 위한 시의 정책방향을 제안해왔다. 대중교통 임산부 배려문화 확산을 위한 핑크라이트 사업의 방향을 제시하기도 했다.

그의 꾸준한 관심과 지원 덕분에 지난해 10월에는 저소득층 임산부들이 저렴한 비용으로 산후조리·임신, 육아 관련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모자건강힐링센터가 수영구 인구보건복지협회 건물 내에 문을 열었다.

최근 개소한 수영구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설립에도 10억원의 시 지원금을 확보해 지역 내 여성·다문화가정 복지에도 꾸준히 힘쓰고 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