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용산구, 한남동 '용산공예관' 개관

고수현 / smkh86@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8-02-11 11:08:48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옛 멋 담겨 있는 '우리의 것'을 만나다
짚풀 · 한지 · 칠보등 명장 작품 한자리에
공예가들 입주해 작품 제작하고 후학 양성
전통문화 계승 · 일자리 창출등 1석 3조 효과


▲ 용산공예관 전경.(사진제공=용산구청)

[시민일보=고수현 기자]서울 용산구 한남동(이태원로 274) 일대에 한국의 전통공예를 체험할 수 있는 '용산공예관'이 들어섰다. 공예관이 건립된 이른바 ‘한남동 가로수길’ 일대는 최근 외국인 관광객과 젊은이의 발길이 급증하고 있다. 다국적 카페와 레스토랑 및 각종 문화시설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공예관은 오히려 ‘우리 것’을 전면에 내세운 것이 특징이다.


구는 민·관 협력사업으로 추진해온 용산공예관 사업이 최근 결실을 맺었다고 밝혔다. 건립사업은 구에서 한남동 옛 여성문화회관 부지를 제공하고 SPC그룹 계열사 (주)파리크라상이 공예관을 건립, 구에 기부채납한 형태로 추진됐다. 부설주차장 무상사용을 조건으로 구는 건축비를 절감했다.


구에 따르면 최근 신축공사를 마치고 지난 8일 용산공예관 4층 다목적실에서 개관식이 열렸다.


이날 행사는 오후 2시부터 현판제막, 내빈소개, 기념사 및 축사, 유공자 표창, 시루떡 절단 순으로 1시간 동안 진행됐으며 성장현 구청장과 진영 국회의원, 지역주민 등 100여명이 함께했다.


구는 용산공예관 개관으로 한남동이 공예문화 메카로 자리잡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구 관계자는 "특히 전통문화 계승, 일자리 창출, 주차문제 해결 등 '1석 3조'의 효과도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이에 <시민일보>는 한남동을 공예문화 메카로 변모시킬 용산공예관의 모습을 살펴봤다.


■지하 1~3층 대규모 주차장 조성


용산공예관은 전통문화 계승과 일자리 창출, 주차문제 해결까지 1석 3조의 효과를 거두기 위해 조성한 이색시설이다. 지하 3층~지상 4층, 연면적 2800㎡ 규모로 하얀 벽체와 파란색 창호가 어우러져 고급스러운 외관을 자랑한다.


특히 지하 1~3층은 SPC그룹 계열사 (주)파리크라상이 운영하는 104면 규모 주차장이다. 파리크라상은 최장 20년간 주차장 무상사용을 조건으로 공예관 건축비 55억원을 부담했다. 공예관 건립으로 100여면의 주차공간이 새로 확보되는 만큼 일대 교통 혼잡도 상당부분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지상 1~3층 전통공예 체험장


지상 1층은 공예품 판매장이다. 건물에 입주한 청년·노인 공예가의 작품은 물론 전국의 명장이 제작한 우수 공예품도 함께 판매한다. 전체 470여품목·1400여점에 이르는 제품을 매장에 비치했다.


지상 2층에는 전문공예가 공방 4개실과 한복·도자기 체험장이 자리했다. 여기서 진행하는 한복·도자기 체험교육은 지역주민과 학생, 아동은 물론 이태원 관광특구를 찾는 외국인 관광객에게 큰 인기를 끌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지상 3층에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공예 교육을 진행하는 ‘공예 배움터’와 짚풀·죽(竹), 한지·종이, 규방·자수, 금속·칠보, 민화·병풍 등 분야별 공방 5개실이 있다. 60세 이상의 공예가들이 이곳에서 작품을 제작하고 후학을 가르친다.


■지상 4층 야외공연장 조성


건물 4층에는 다목적실과 야외공연장을 갖췄다. 특히 계단 형태로 건물 옥탑까지 이어지는 야외공연장은 공예관의 이색적인 공간이다. 이곳에서 매봉산 일대를 시원하게 내려다 볼 수 있다. 옥탑 위로는 접이식 어닝을 설치, 햇살과 비바람을 막는다.

구는 공예관 조성을 통해 노인 공예가 24명, 도자기 체험강사 1명, 상품 판매직원 2명, 판매 및 교육보조 인력 16명, 임기제공무원 3명 등 총 46개의 공공 일자리를 창출했다. 구는 공예관이 앞으로도 지속적인 고용을 만들어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공예관 건립은 2015년 구청·파리크라상 간 양해각서(MOU) 체결에서 시작됐다. 2016년 3월 기공식을 했으며 2년여 공사 끝에 건물이 제 모습을 갖췄다. 구는 이번 사업으로 2017년 하반기 서울창의상 ‘상생협력’ 부문 최우수상을 받기도 했다.


공예관은 화~일요일 주 6일간 오전 10시~오후 7시에 운영한다. 매주 월요일은 휴관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