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성동형 의료복지’ 팔걷어
‘9988 건강지킴이’ 등 다양한 사업 운영
복지사각지대 발굴 기능의 내실화 박차
노인 전담 ‘효사랑 주치의’ 운영 큰 호응
‘주민자치회’ 사업, 올해 17개 전동 확대
![]() |
||
▲ (왼쪽 상단부터 시계방향으로)‘효사랑 주치의’ 발대식에서 주치의로 참여하는 의사·간호사 등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 ‘효사랑 주치의’가 지역내 노인 가구를 방문해 진찰을 하고 있는 모습, 구청을 방문한 주민자치사업단과 구 관계자들이 면담을 하는 모습, 행당1동 주민자치회 출범식에 참여한 구 관계자들이 박수를 치고 있는 모습.(사진제공=성동구청) |
구는 이날 성과공유대회에서 2015년 7월1일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사업의 1단계 시범구로 선정된 후 추진해 온 사업을 돌아봤다.
세부적으로 구는 2017년을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사업의 완성의 해’로 삼고 그 동안 진행해 온 사업성과를 공유·점검했으며, 미흡했던 부분은 보완하기도 했다.
이에 <시민일보>에서는 구가 2017년 한 해 동안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사업의 완성을 위해 진행해온 성과와 현재 진행형에 있는 각종 복지 사업들에 대해 자세히 살펴봤다.
■ 찾동사업 중장기 계획 이행에 최선
앞서 구는 지난해 6월 ‘함께한 2년, 함께할 미래’란 주제로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2주년 중장기계획 발표한 바 있다.
이어 지난해 12월에는 ‘참여에서 자치로, 찾동의 새 시대를 여는 성동’이란 주제로 지역주민과 유관 민간기관, 구청, 보건소, 각 동 주민센터 직원 등이 참여한 가운데 ‘2017년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사업 성과공유대회’를 개최했다.
이날 발표회에는 정원오 구청장이 발표자로 참석,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사업의 지난 2년간의 성과와 차기 중장기 계획을 주민들에게 발표했다. 참가자들은 주민과 함께할 구의 미래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보내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식전공연을 시작으로, 유공자 표창, 주민토론회, 캐치프레이즈 선포식, 찾동 주민 수다회 ‘찾아수다’ 등도 진행됐다.
특히 이날 대회는 ‘마을이 행복한 성동’과 ‘더불어 함께사는 성동’ 등 협업과 소통·협치를 위해 구의 찾동 중장기 계획의 실행과제로 삼았던 ▲더불어 사는 찾아가는 복지 ▲지역사회 9988 건강지킴이 ▲주민이 서로 함께 마을공동체 조성 ▲다같이 나누는 동행정 혁신 등을 중점 점검했다.
향후 구는 분야별로 더불어 사는 찾아가는 복지분야와 복지사각지대 발굴 기능의 내실화를 기하고자 복지통·반장의 복지활동 수당 인상과 지역사회보장협의체 활동영역을 확대하고, 지역내 다양한 인적자원 및 복지사각지대 발굴 시스템을 마련함으로써 위기가정을 발굴·지원할 예정이다.
또 숙박업소 등을 대상으로 전수조사 시행과 보편 방문복지 내실화를 통한 복지사각지대 해소 등 은둔형 사회적 고립 1인 가구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방침이다.
■ ‘성동형 의료복지’ 실현 위해 다양한 사업 진행
구는 노인 방문건강관리로 65세 이상 노인 및 빈곤위기가구를 방문해 보건·복지 통합 건강관리 등 건강군 분류에 따른 지속적인 건강관리를 하고 있다.
아울러 ‘동건강이음터 마을건강 주치의’ 활성화를 통해 만성질환자 조기발견 및 등록관리와 유소견자 발견 시 보건소 진료의사 핫라인 상담 등도 제공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전국 최초로 노인 전담 주치의 사업인 ‘효사랑 주치의’팀을 구성, 노인 전담 의사 및 간호사를 통해 지역내 75세 이상 노인 가구를 방문, 노인들의 건강하고 즐거운 노년을 지원하고 있다.
이와 함께 구는 성동형 의료복지로 발굴된 복지대상자에게 ▲비급여 진료비 20% 감면(협력기관 106곳) ▲참여의료기관을 통한 진료비 및 약제비 감면(65세 이상 고혈압·당뇨 유질환 노인) 등을 실시해 지역주민들의 건강 100세를 위한 길을 열고 있다.
더불어 지역주민이 세우고 실행하는 마을계획을 기존 4개동에서 2017년부터 4개동을 추가해 8개동에서 진행하고 있으며, 2018년 주민자치 사업의 성과에 맞춰 사업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특히 주민 참여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주민참여지원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 복지사업 안전성 · 지속성 확보에 총력
앞서 구는 ▲복지·건강·마을의 인력 확보 ▲사회복지직 팀장 점증적 확대 ▲사례전문관리 전문가 등의 전문직위 확대 ▲동장 공모제 시행 등의 다양한 활동으로 복지사업의 안전성 및 지속성을 확보해 왔다.
뿐만 아니라 주민자치활성화 사업 추진 기반 마련을 위한 조례를 개정하기도 했으며, 주민자치회를 2017년 하반기 8개동으로 확대하고, 올해는 17개 전동으로 확대하는 등 주민자치회의 역할· 기능·권한 강화해왔다. 또 이를 수행해나갈 ‘주민자치 사업단’도 구성해 운영하고 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