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복지안전망, 더 촘촘해진다

장인진 / jij@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8-02-19 15:16:08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주거취약계층·에너지빈곤층 집중 발굴
대상자 맞춤형급여·긴급복지 지원키로


[홍성=장인진 기자] 충남도가 연일 지속되는 한파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지역주민을 찾아 지원방안을 모색하는 복지 사각지대 발굴관리 시스템인 ‘민·관 사회복지안전망’을 집중 가동한다.

19일 도에 따르면 복지 사각지대 주요 발굴대상은 ▲기초생활수급 신청·탈락 및 중지자 ▲창고·공원·터미널·비닐하우스 등에서 생활하는 비정형거주자 ▲단전·단수로 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에너지 빈곤층 등이다.

또 ▲가구 구성원의 질병·노령 등으로 돌봄부담이 높은 가구 ▲각종 공공요금 감면 서비스를 받지 못하고 있는 저소득 취약계층 가구 ▲홀몸노인 등 주변의 도움이 필요하지만 지원받지 못하고 있는 가구 등도 대상이다.

세부적으로 해당 시스템은 한국전력공사와 도시가스 회사, 건강보험공단, 응급의료센터 등 14개 기관에서 단전·단수와 건강보험료 체납, 기초수급 탈락·중지 등 27종의 정보를 수집·분석해 고위험 가구를 예측·선별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이를 통해 발굴된 취약계층은 소득수준에 따라 맞춤형급여나 긴급복지지원 등의 공적지원 대상자로 선정해 지원하고, 공적 지원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행복키움지원단'을 통해 민간 서비스 연계 지원 방안을 찾을 예정이다.

대상자 발굴에는 읍·면·동주민센터에서 운영 중인 찾아가는 복지서비스와 복지 사각지대 발굴관리시스템, 복지이·통장이나,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등의 지역 사정에 밝은 인적안전망 등을 연중 중점 활용한다.

한편 도는 지난해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5400가구를 발굴해 470가구를 기초생활 수급자로, 698가구는 차상위 계층으로 지정해 공적 지원을 받도록 하고, 2750가구는 긴급복지지원을 비롯한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고, 나머지는 민간 서비스를 연결시켜 어려움을 덜 수 있도록 했다.

고일환 도 복지보건국장은 “우리 사회는 비교적 촘촘한 복지시스템이 구축돼 있으나 갑작스러운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복지 사각지대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며 “이에 대한 해결을 위해서는 이웃 모두의 관심이 필요한 만큼, 민·관 사회복지안전망을 최대한 가동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