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 거버넌스] 금천구, 동별 주민총회 6일 스타트

여영준 기자 / yyj@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8-07-02 14:20:14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직접 제안하고 선택하는 우리동네 사업
'마을 민주주의' 축제의 장 활짝 열린다
10개동별 내년 마을의제 발표·토론거쳐 주민투표
참여 어려운 직장인·학생들 위한 사전투표도 진행
▲ 지난 1월 열린 '찾아가는 가산동 주민센터 마을총회'를 찾은 주민들이 각 의제에 대해 투표를 진행하고 있다.
[시민일보=여영준 기자]서울 금천구는 동별로 구성된 주민자치회에서 오는 6~21일 우리 동네 자치계획을 결정하는 ‘주민총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주민총회는 주민자치회에서 수립한 자치계획에 문제가 없는지를 마을 주민들과 함께 살펴보고 보완하는 과정을 거쳐, 실질적으로 주민 스스로 자치계획을 결정할 수 있도록 만든 자리를 말한다.

주민자치회는 수립한 자치계획을 주민 대상으로 공론화하고, 주민투표를 통해 각 세부사업의 추진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주민총회는 오는 6일 시흥5동을 시작으로 10개동에서 열린다.

이에 <시민일보>는 주민 스스로 자치계획을 세우고 결정하는 '금천구 주민총회'에 대해 자세히 살펴봤다.

■ 주민자치회 발대식… 주민자치위원 440명 위촉
▲ 지난 2월 독산1동 '동장님과 함께하는 마을올림픽'에 참여한 동장이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구는 지난해 12월 주민자치회 발대식을 통해 주민을 대표해 주민자치와 마을공동체에 관한 민·관협력을 수행할 주민자치위원 440명을 위촉하고, 올해부터 전국 최초로 모든 동(洞)에서 주민자치회를 본격 시행 중에 있다.

그동안 주민자치회는 수차례의 회의와 워크숍을 통해 주민자치회 운영방안과 사업계획을 논의했으며, 위원과 주민의견을 수렴해 운영세칙을 정했다.

또 동별 특성에 맞는 분과위원회를 구성해 주민과 함께 동네 구석구석을 돌아보며 마을에 필요한 사업을 찾아보는 등의 이번 주민총회 준비를 위해 바쁘게 움직여 왔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각동 주민자치회에서는 이번 주민총회에 상정할 자치계획 수립을 최근 완료했다.

자치계획은 ▲주민자치회 및 자치회관 운영계획 ▲행정사무 위·수탁 계획 ▲서울시 시민참여예산 사업계획 ▲동특성화사업 계획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 10개동에서 주민총회 개최… 주민 누구나 참여 가능
▲ 지난 2월 열린 독산4동 마을총회에 참석한 관계자가 발언하고 있다.
주민총회는 오는 6일 시흥5동과 시흥2동, 7일은 독산3동과 가산동, 11일은 시흥3동, 14일은 독산2동, 19일은 시흥4동, 20일은 독산1동과 시흥1동, 21일은 독산4동에서 각각 열릴 예정이다.

세부일정을 살펴보면 시흥5동은 오후 5~7시 주민센터 앞마당에서, 시흥2동은 오후 6~8시 주민센터 3층강당에서 총회가 열린다.

이어 독산3동은 오전 11시~오후 3시 모두의 학교에서, 가산동은 오후 4~6시 주민센터 주차장에서 총회가 열린다.

또한 시흥3동은 오후 6~8시 박미사랑 마을회관에서, 독산2동은 오후 4~6시 신청사에서, 시흥4동은 오후 6시30분~8시 남부여성발전센터에서 각각 총회가 열린다.

아울러 독산1동은 오후 4~6시 주민센터에서, 시흥1동은 오후 6~7시30분 시흥초 체육관에서, 독산4동은 오후 2~4시 구민문화 체육센터에서 각각 총회가 열린다.

주민총회는 해당 동 주민이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벼룩시장·마을공연·정책터널 등 다양한 이벤트도 함께 열어 마을 축제의 장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주민총회는 청소년들의 관심사와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고자 15세 이상의 학생에게도 투표권을 부여했다. 현장 참여가 어려운 학생을 위해 주민자치회는 중·고등학교를 직접 찾아가 마을의제를 제안하고 투표를 진행해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이와함께 더 많은 주민의 의견을 반영하고자 온라인 사전투표도 진행한다. 사전투표 기간은 오는 4일까지, 구청 홈페이지 또는 동별 주민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참여 가능하다.

한만석 마을자치과장은 “올해 주민총회는 주민의 손으로 직접 동네 자치계획을 결정하고 실행하는 풀뿌리 마을민주주의의 중요한 출발점”이라며 “향후 자치회관과 행정사무 위·수탁을 통해 주민자치회가 자립하고 역량을 키울 수 있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구청 마을자치과 또는 각동 주민센터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