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회 원 구성을 밀어붙인 더불어민주당이 이번 주에는 국무총리 임명동의안과 추가경정예산안(추경) 강행 처리를 예고하는 등 무한폭주하는 모양새다.
실제로 과반 의석을 보유한 민주당은 이번 주에 추경안과 총리 임명동의안을 밀어붙일 계획이다.
앞서 법제사법위원장과 예산-결산특별위원장 등 공석인 상임위원장 선출을 두고 국민의힘과 팽팽한 줄다리기를 이어온 민주당은 끝내 합의가 불발되자 지난 27일 운영위원장과 예결위원장, 법사위원장, 문체위원장을 자기들 멋대로 선출하고 말았다.
새 정부 출범 후 국민의힘과의 협치를 강조해 온 민주당이 협상이 마무리되지 않았음에도 국회 원 구성을 강행한 것이다.
어디 그뿐인가.
오는 30일 김민석 총리 후보자 인준안 처리를 위한 국회 본회의 개회를 우원식 국회의장에게 요청할 예정이다. 예결위는 같은 날 전체회의를 열고 본격적인 추경안 심사에도 나선다.
이밖에 상법개정안, 양곡관리법 등 농업 4법, 노란봉투법, 지방교육 재정 교부금법, 인공지능(AI) 교과서 관련 초중등교육법 등 윤석열 정부 거부권 행사 법안을 포함한 총 40건의 법안을 최대한 빠른 기간 내에 처리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이런 민주당의 "묻지마식 의회폭주, 민주당식 협치파괴" 앞에 국민의힘은 한없이 무기력해 보인다.
국회의 견제조차 받지 않는 이재명 정권의 폭주 기관차를 멈춰 세울 세력은 정녕 대한민국에 존재하지 않는 것인가. 이대로 베네수엘라까지 직행할 수밖에 없는 것인가.
아니다. 이재명 후보가 승리한 21대 대선 출구조사 결과 20대 남성의 74.1%가 이재명이 아니라 김문수와 이준석 등 보수 후보를 지지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렇다고 해서 이들이 극우화한 것은 아니다.
실제 지난 4월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직후 KBS·한국리서치 여론조사를 보면 20대 남자 중 59%가 '탄핵은 잘한 결정'이라고 했고, 26%만이 '잘못된 결정'이라고 응답했다. 또 지난 2월 시사IN·한국리서치 여론조사를 보면, 20대 남성 응답자 중 65%가 서부지법 폭동을 '용납할 수 없다'고 했다. '저항권 행사'라고 답한 비율은 19%에 그쳤다.
뜬금없는 계엄령 선포로 정국에 혼란에 빠뜨린 윤 전 대통령의 탄핵에 찬성하고, 서부지법의 폭력적 행동을 용납하지 못하는 그들을 ‘극우화’ 세력으로 규정하는 것은 대단히 잘못된 판단이다.
그렇다면 답은 나와 있다. 이른바 ‘이대남’마저 외면한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단절은 물론 부정선거 음모론의 선두에 있는 전광훈 목사와 자유통일당, 황교안 전 국무총리 같은 극우 세력과도 과감하게 단절해야 한다.
고작 1~2%대의 지지를 받는 그들의 목소리가 보수진영 내에서 너무 크다. 그들로 인해 진보진영의 이중성이 부각하기는커녕 되레 보수진영의 음모론만 부상하는 역효과를 초래할 뿐이다.
거듭 강조하지만 이대남은 ‘극우화’ 된 것이 아니라 ‘진보의 이중성’에 대한 반감으로 ‘보수화’ 되었을 뿐이다.
86세대는 민주화 세대를 자처하며 진보적 가치를 표방했지만, 자신들의 여성 혐오적 과거와 현재는 성찰하지 않은 채 젊은 세대에게 페미니즘을 설교했다. 얼마나 가증스러운 짓인가. 이러한 기성 진보세력의 이중성은 정보가 상대적으로 빠른 청년 남성들에게 진보 진영 전체에 대한 불신으로 작용했다.
이런 정보가 20대 여성, 그리고 30대로 전파되면 86세대를 제외한 전 세대의 ‘보수화’까지도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문제는 이들을 담아낼 그릇이 아직은 준비가 덜 되어 있다는 점이다.
개혁신당은 여전히 ‘꼬마 정당’으로 그들의 마음을 담아내기엔 턱없이 부족하고 국민의힘은 대선 패배 이후 갈피를 못 잡고 우왕좌왕하고 있으니 미덥지 못하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국민의힘이 보수세력의 유일한 대안이자 희망이라는 점을 보여주어야 한다. 내부에서 치열하게 고민하고 반드시 해법을 찾아내야 한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