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선우-이진숙만큼은 절대로 안 된다

고하승 / gohs@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5-07-16 13:42:41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주필 고하승



이재명 정부 첫 내각 인선을 보면 하품이 나올 지경이다.


장관 후보자들 면면을 보면 토악질이 나올 정도다.


그런데도 강훈식 대통령실 비서실장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새 정부 1기 내각 추천이 끝났으니 털어놓는다”라며 “대통령님의 눈이 너무 높으십니다. 물론 높아야지요”라고 마치 대단히 잘된 인사인 것처럼 자화자찬했다.


심지어 집권 여당은 “단 한 사람도 낙마는 없다”라며 밀어붙일 태세다.


물론 국회를 장악하고 행정 권력까지 거머쥔 여권이 그런 식으로 인사를 강행한다고 해도 무기력한 야당은 이를 막을 수가 없다. 그러니 그냥 밀어붙여도 된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과연 국민이 그런 인사를 보면서 어떤 생각을 할지 살펴봐야 한다.


당장은 국민도 어쩔 수 없겠지만 민심에 반하는 그런 일들이 차곡차곡 쌓이기 시작하면 내년 지방선거는 물론 차기 총선에서 집권당을 향해 회초리를 들지 않겠는가.


그렇다고 해서 문제가 있는 장관 후보자들 모두를 교체하라는 것은 아니다. 원활한 국정 운영을 위해 첫 내각이 조속한 시일 내에 구성돼야 하는 만큼 흠결이 있는 장관 후보자 전원을 교체하라는 건 다소 무리가 따른다.


그러나 아무리 그래도 이른바 ‘갑질 후보’라고 불리는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와 ‘표절 후보’라고 불리는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만큼은 절대로 장관직에 임용되어선 안 된다.


우선 ‘보좌관 갑질’ 논란에 휩싸인 강 후보자는 거짓 해명에 이어 두 차례의 임금 체불로 진정을 당한 사실까지 드러났다.


국회 여성가족위원회 국민의힘 간사인 조은희 의원은 “지난 4일 국회 여가위 차원으로 요구한 고용노동부 자료가 (강 후보자 부동의로 미뤄지다가) 오늘(15일) 아침에서야 제출됐다”라며 “두 번의 임금 체불로 신고당한 사실을 숨기려는 강 후보자는 약자 보호 주무 부처인 여성가족부 장관이 되면 안 된다”고 지적했다.


앞서 강 후보자는 보좌진에게 ‘음식쓰레기를 버리라고 지시했다’라는 의혹에 대해 “‘음식물을 다 먹지 못하고 남겨 놓은 것’이라고 해명했으나 이후 ‘현관 앞에 박스를 내놨으니 지역구 사무실 건물로 가져가 버리라’고 보좌진에게 직접 지시한 텔레그램 대화 내용이 공개되자 지난 14일 인사청문회에서 거짓 해명을 인정하기도 했었다. 특히 강 후보자가 언론 답변서를 통해 ‘전 보좌관 2명에 대한 법적 조치를 진행 중’이라고 명시해놓고도 인사청문회에서는 “예고한 적도 없다”라고 거짓 해명한 사실까지 드러났다.


그런데도 결격 사유가 없다며 임명을 강행한다면 국민이 과연 용납하겠는가.


또 ‘논문 표절’ 논란으로 여론의 비판을 받는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자녀 호화 조기유학 문제까지 도마 위에 올랐다.


국민의힘 조정훈 의원은 "이 후보자의 두 딸이 유학한 학교는 기숙사 학교, 이른바 보딩스쿨(미국 버지니아주 마데이라 스쿨)로 학비만 연 1억 원이 넘고 학교 근처 집값은 100억 원이 넘는다"라며 "정말 초호화 유학"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이 후보자는 제자의 석사 논문을 표절해 학술지에 발표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상태다.


제자의 논문을 인용 없이 자신을 제1 저자로 올린 것은 명백한 표절로 연구윤리를 심각하게 위반한 것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후보자가 해당 논문에 대한 실질적 기여는 자신이 했다고 해명한 것에 대해선, 이는 오히려 지도교수로서 제자의 학위 논문이 잘못됐음을 인정하는 것이라는 비판도 나왔다.


11개 교수·학술 단체 연합체인 범학계 국민검증단은 “이 후보자의 논문 표절은 김건희 씨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하다”라며 사퇴를 촉구하기도 했다.


심지어 친여 성향의 전교조마저 전날 서울 종로구 창성동 국정기획위원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공교육을 책임지기에 자격이 부족한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지명을 이재명 대통령이 즉각 철회할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라고 지명철회를 압박했다.


경고한다. 이런 여론을 무시하고 단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명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이들을 그대로 장관 자리에 앉힌다면 국민이 용서치 않을 것이다. 조기 대선 승리로 모든 것을 가졌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선거는 내년에도 있고 3년 후, 그리고 5년 후에 다시 대선도 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