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이번 광복절 특사는 분열과 반목의 정치를 끝내고 국민 통합과 민생 회복을 위한 이재명 대통령의 고뇌어린 결단이었다”라면서 “특별사면은 대통령의 고유 권한이지만 절제되고 최대한 신중하게 행사돼야 하는데 특사 대상에 이재명 대통령과 정치적 생사고락을 함께 했던 대통령 측근 그룹이 단 한명도 포함되지 않았던 이유”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재명의 측근이라는 이유로 윤석열 검찰 독재 정권의 이재명 죽이기 정치 탄압 피해자로 고초를 겪고 있는 동지들을 결코 잊어선 안 된다”라며 “김용, 정진상, 이화영, 송영길 등 우리의 동지들이 명예를 회복하고 하루 빨리 우리 곁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끝까지 함께 하겠다”라고 밝혔다.
또한 그는 “이재명 정부 국정기획위원회가 첫 번째 추진할 국정과제로 개헌을 꼽았다”라며 “사상 초유의 현직 대통령의 무소불위 친위 쿠데타로 헌정 질서를 파괴했던 지난 정권의 비극이 다시는 우리 역사에서 되풀이 돼서는 안 된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대통령 권한을 분산하고 책임 정치 구현과 완전한 내란 종식을 위해서는 반드시 개헌이 필요하다”며 “대한민국 민주화 항쟁의 상징인 5.18 정신의 헌법 전문 수록과 함께 비상계엄 국회 통제권 강화, 대통령 거부권 제한, 대통령 4년 연임제 도입 등은 우리 사회가 더 이상 미뤄서는 안 될 시대적 책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재명 정부의 중간평가 성격을 가진 6.3 지방선거와 함께 개헌을 추진하자. 내년 지방선거와 함께 국민투표를 진행한다면 비용 절감과 책임 정치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다”며 “국회의장께서도 조속한 개헌 특위 구성 계획을 밝히신 만큼 국힘과 다른 야당들의 적극적인 동참을 기대한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