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친 · 인척 · 측근들 잇단 소환
이팔성 금품 로비 정황도 포착
"새로 불거진 의혹등 수사 필요"
[시민일보=고수현 기자]이명박 전 대통령의 검찰 소환 시기를 두고 법조계 안팎에서 이달 중순께 이뤄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1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수사팀은 이달 중 이 전 대통령을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막바지 보강 수사를 벌이고 있다.
당초 검찰은 6.13 지방선거 영향 논란을 의식해 선거 출마자의 공직자 사퇴 시한인 이달 15일 전에 조사를 매듭짓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한 것으로 전해졌으나 일러도 이달 중순쯤 이 전 대통령에 대한 조사가 이뤄질 것이라는 관측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이는 이 전 대통령의 뇌물수수 의혹과 관련한 막판 수사 단계에서 이팔성 전 우리금융지주 회장과 대보그룹 측의 불법 자금 제공 의혹이 추가로 불거진 것과 무관치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해 검찰 관계자는 “현재로써는 새롭게 불거진 의혹 등에 관한 필요한 수사를 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시한을 정해 놓고 수사를 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앞서 검찰은 국가정보원 특수활동비 청와대 상납 의혹과 관련해 1월12일 각각 이명박 정부시절 김백준 전 청와대 총무기획관과 김희중 전 제1부속실장의 자택과 사무실을 전격적으로 압수수색한 바 있다.
김 전 기획관과 김 전 실장에 대한 압수수색을 시작으로 이 전 대통령에 대한 수사의 신호탄을 쏘아올린 검찰은 이후 ▲국정원 특활비 의혹 ▲다스의 BBK 투자금 140억 반환 관련 직권남용 및 삼성 소송비 대납 의혹 ▲비자금 조성 및 이시형씨 편법 지원 등 다스 경영비리 의혹 부분을 중심으로 수사를 전개했다.
특활비 의혹과 관련해서는 김 전 기획관, 김 전 실장, 장다사로 전 총무기획관, 이 전 대통령의 친형인 이상득 전 의원 등에게 최소 18억5000만원의 국정원 자금이 흘러간 것으로 검찰은 파악했다.
특히 검찰은 지난 2월5일 특활비 4억원을 받은 혐의로 김백준 전 총무기획관을 구속기소하면서 이 전 대통령을 ‘주범’으로, 김 전 기획관을 ‘방조범(종범)’으로 규정하면서 이 전 대통령에게 주된 법적 책임이 있다는 판단을 내렸다.
이 때문에 검찰이 이 전 대통령을 기소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한 상황이다.
또한 검찰은 이 전 대통령이 다스의 실소유주라는 결론을 사실상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다스와 관련한 전방위 의혹들에 대한 이 전 대통령의 해명이 필요해진 상황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다스 관련 의혹은 구체적으로 국가기관을 동원해 다스의 떼인 투자금을 받아줬다는 직권남용 의혹, 최소 100억원대가 넘을 것으로 추정되는 다스의 조직적인 비자금 조성 및 이시형씨 개인 회사 일감·자금 몰아주기 의혹 등이다.
이밖에 이 전 대통령이 퇴임 직전 국가기록원으로 이관해야 할 대통령기록물을 다스 '비밀 창고'로 옮겼다는 혐의(대통령기록물관리법 위반), 처남 고(故) 김재정씨를 비롯한 친지 명의로 전국에 최소 10여개 이상의 부동산 등 차명재산을 보유했다는 혐의(부동산 실권리자명의 등기에 관한 법률 위반) 등에 관한 수사도 진행 중이다.
이 전 대통령을 향한 검찰 수사가 진척을 보인 배경으로는 이 전 대통령 측근 등이 구속을 계기로 검찰 수사에 협조를 하면서다.
앞서 김 전 기획관과 김 전 실장, 재산관리인 이병모 청계재단 사무국장, 김성우 전 다스 사장, 이 전 대통령의 조카 이동형씨 등 핵심 측근과 관계자들이 대부분 구속을 계기로 검찰 수사에 협조를 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김 전 기획관은 지난달 17일 구속되고 나서 국정원 자금 수수와 관련한 전모를 털어놨다. 이 전 대통령의 재산을 총괄 관리하던 이 국장도 구속 후 이 전 대통령이 도곡동 땅과 다스의 실제 주인이라는 진술을 내놓았다.
아울러 검찰은 친·인척들도 대거 수사 선상에 올려 이 전 대통령을 강하게 압박했다. 이 전 대통령의 친형인 이상득 전 의원은 국정원 특활비 1억원을 수수한 혐의로 지난 2월26일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를 받았고, 큰형 이상은씨도 조만간 소환된다.
이 밖에도 고 김재정씨의 부인으로 현재 다스의 2대 주주인 권영미씨, 이 전 대통령의 조카로 차명재산 일부 명의를 제공한 의혹을 받는 김동혁씨도 검찰 조사를 받은 바 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