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17일 오후 자유한국당 댓글조작진상조사단이 문재인 정부 비방 댓글과 추천 수 조작 혐의로 구속된 '드루킹' 김 모씨가 공동대표로 있는 경기 파주시 느릅나무 출판사를 방문, '경공모'라고 붙여진 물통을 가리키고 있다.(사진제공=연합뉴스) |
[시민일보=이진원 기자]이른바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이 사회적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가운데 ‘매크로’라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쏟아지고 있다.
클릭 조작을 통한 블로그 마케팅, 여론 조작 등 각종 사이버 부정행위에 악용되고 있지만 이를 막을 대책은 미흡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김승주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는 18일 오전 KBS <안녕하십니까 윤준호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인터넷 자정기능을 활성화 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네이버나 다음이 그동안 매크로 이야기가 나오면 그냥 묵묵부답이었는데 이런 부분은 굉장히 잘못한 것”이라며 “투명성을 확보하려는 노력을 안 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앞으로는 네이버나 다음이 매크로 시도를 몇 번 정도 탐지했고 우리가 탐지 못한 건 경찰에 언제 신고했고 그 결과는 어떻게 나왔는지 이런 것들을 발표할 필요가 있다”며 “이런 것들을 통해 인터넷이 좀 자정되도록, 투명성을 강화하려는 노력부터 먼저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포털이 매크로 차단에 손을 놓고 있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조금 더 수사 결과를 기다려봐야 한다”고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그는 “이런 매크로를 방치하게 되면 조회수도 조작되는 건데 그 사실이 알려지면 광고 단가가 하락한다. 그리고 이것은 광고 수익에 치명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포털은 이런 매크로를 차단하기 위해 굉장히 많은 노력을 한다”며 “손을 놓고 있다는 건 앞뒤가 안 맞는 얘기”라고 주장했다.
한편 매크로 프로그램 사용 업체의 한 관계자는 “업계에서도 불법적 부분을 다 알고 있지만 암묵적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날 오전 CBS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고속도로에서 과속 단속 카메라가 없을 때 빠르게 가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도 마찬가지”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선을 넘지 않는 데서는 다들 암묵적으로 이런 언더 마케팅을 하고 있는데 사실 증거도 없고 그냥 마케터의 양심에 따라서만 알 수가 있다”며 “그냥 표면적으로 ‘곱창 맛집’이 떴는데 이게 작업을 해서 떴는지는 일반인이나 제3자가 판단하기에는 굉장히 애매한 부분들이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