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비례대표 선거제 배분방식을 놓고 막판 고심을 거듭하는 모습이다.
민주당 관계자는 21일 “준연동형 유지는 이재명 대표의 대선 공약 준수 및 야권 연대를 위해 필요하다는 명분론과 준연동형 유지 시 여권이 위성정당 창당에 나설 것이기 때문에 총선 승리를 위해선 병립형 회귀가 불가피하다는 실리론이 팽팽하다”고 당내 분위기를 전했다.
지난해 11월 말까지만 해도 민주당은 병립형 회귀로 기우는 기류였다.
이 대표가 "멋있게 지면 무슨 소용이냐"며 실리론에 무게를 실으면서다.
하지만 이후 당내 비명계와 김두관·우원식 의원 등 일부 친명계가 대선 때 약속한 대로 연동형·권역별 비례제를 도입하라고 반발하자 해당 이슈는 수면 아래로 잠복했다. 특히 이낙연 전 대표와 비명계 의원 3명이 탈당해 제3지대 깃발을 든 상황에서 병립형 회귀에 미련을 갖는 건 자칫 당의 원심력만 키운다는 우려도 고려됐다.
이러 가운데 이 대표는 지난 18일 간담회에서 "명분과 실리가 일치하지 않는데 가능한 한 균형점을 찾을 것"이라며 여전히 병립형에 무게를 두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당내 여론이 양분된 가운데 지도부 다수는 여전히 병립형 회귀 쪽에 힘을 더 싣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연동형의 경우 여당이 절대 수용불가 입장 때문에 합의점을 찾지 못할 것을 고려하면 민주당의 선택지는 범야권 비례연합 정당을 추진하거나 병립형과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함께 도입해 명분을 보완하는 두 가지로 압축된다.
전자의 경우 결국 유사 위성정당 비판을 피할 수 없고, 후자도 대선 공약 파기라는 비난에 직면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 관계자는 "비례연합 정당은 수많은 세력 간에 갈등이 생길 수 있어 리스크가 크고 어차피 위장 위성정당 창당이란 비판을 받게 된다"며 "오히려 영남에도 진출이 가능한 권역별 비례제를 도입해 지역주의 타파라는 오랜 정치적 숙제를 풀면서 병립형으로 정면 돌파하는 게 낫다"고 말했다.
하지만 김부겸 전 총리가 최근 병립형 회귀에 대해 "국민 배신"이라고 공개 비판에 나서는 등 준연동형 유지를 주장하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이재명 대표의 고민이 깊어지는 이유다.
이 대표는 자신의 정치적 명운이 달린 이번 총선을 반드시 이겨야 하는 절박한 입장이면서도 당내 분열상을 추슬러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를 두고 민주당은 오는 25일 의원총회에서 의견을 수렴한다.
원내 지도부는 조만간 당론을 정리해 1월 임시국회 마지막 본회의가 열리는 다음 달 1일에는 선거법을 처리하겠다는 방침이지만, 내부 교통정리가 설 연휴 이후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