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희숙 "민심 정확히 전달할 분 찾아 총선 맡겨야"
최창렬 "金, 인식 부족...'내가 물러나겠다' 밝혀야"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국민의힘이 김기현 대표를 제외한 임명직 당직자 전원 사퇴에 이어 15일 당 쇄신 논의를 위한 의원총회를 개최하는 등 강서 보궐선거 패배 수습에 나섰지만 일각에서 김 대표를 겨냥한 보선 패배 책임론이 제기되는 등 진통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앞서 김기현 대표는 이철규 사무총장, 박성민 전략기획부총장, 배현진 조직부총장, 박대출 정책위의장, 박수영 여의도연구원장, 강대식 지명직 최고위원, 유상범·강민국 수석대변인 등 임명직 당직자들의 사의 표명에 대해 "당의 안정과 발전적 도약을 위한 임명직 당직자들의 결단을 존중하고 그 뜻을 수용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는 전날 페이스북을 통해 “국민의힘이 국민들의 사랑을 받는 당이 되도록 면모를 통합형으로 일신하고, 민생을 우선으로 하며, 개혁정당으로 발전적 도약을 해나갈 수 있도록 더욱 분골쇄신하겠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이에 대해 당 안팎에서 김 대표 거취를 압박하는 발언이 이어졌다.
최창렬 용인대 특임교수는 "국민의힘이 여전히 이번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참패에 대해서 인식이 아직도 대단히 부족하다고 본다"며 "참패했는데 그렇다면 적어도 김기현 대표의 워딩이, '특단의 대책을 취하겠다', 이렇게 나오면 안 되고 '내가 물러나겠다' 이렇게 나와야 된다"고 주장했다.
최교수는 이날 YTN 방송에서 "임명직 당직자들 사퇴시킨 것은 당연한 거고, 선출직 중에서도 대표가 물러나야 한다"면서 이같이 지적했다.
이어 그는 "대표가 물러나지 않으면 책임정치라고 볼 수 없다. 민주주의의 가장 중요한 원리가 대표성과 책임성"이라면서 "환골탈태 모습을 보이려면 당 대표가 바뀌어야하는데 자꾸만 주변 언저리만 겉도는 것 같아서 대단히 안타깝다는 생각이 든다"고 강조했다.
이에 앞서 홍준표 대구시장도 "패전의 책임은 장수가 지는 것"이라며 “부하에게 책임을 묻고 꼬리 자르기 하는 짓은 장수가 해선 안될 일”이라고 김대표 사퇴를 압박했다.
홍 시장은 전날 페이스북을 통해 “모두 지도자답게 처신 했으면 좋겠다”면서 “당 밖으로 눈을 돌리면 용산의 간섭 없이 독자적으로 공천하고 당을 이끌어 가면서 총선을 치를 훌륭한 분들이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지금 지도부는 태생의 한계 때문에 총선 앞두고 또 도장 들고 나르샤 할 가능성이 다분하다”며 "정권과 나라의 운명을 좌우할 총선에 모두 심각하고 냉정하게 대처해야 한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윤희숙 전 의원도 페이스북에서 “임명직이 사퇴했지만 잃어버린 신뢰를 되찾기에는 역부족”이라며 "상식 수준에서 요구되는 국민의힘 쇄신안은 (우선 순위로) '당정관계를 제대로 세우고 민심을 정확히 전달할 분을 찾아 당의 쇄신과 총선 준비를 맡겨야 한다'"고 홍 시장 지적에 힘을 실었다.
더불어민주당도 "정작 책임져야 할 사람은 김태우 후보를 공천한 윤석열 대통령과 당 지도부"라며 "국민은 윤 대통령과 여당 지도부에 회초리를 들었는데 여당 임명직 당직자 사퇴라니 국민 보기에 민망하지 않냐"고 비판했다.
박성준 민주당 대변인은 전날 논평에서 "대법원 판결 3개월 만에 범죄자를 사면·복권해 준 것은 윤 대통령이고 (그) 결정을 받들어 김 후보를 공천한 건 김기현 대표와 여당 지도부"라면서 이 같이 지적했다.
그러면서 "민의를 보고도 정부·여당이 전혀 변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꼴"이라며 "임명직 당직자 사퇴로 민심을 수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큰 오산"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김기현 대표 거취를 둘러싸고 충돌양상을 보인 김진태 강원지사와 홍준표 대구시장 간 설전이 눈길을 끌었다.
김 지사는 전날 "홍준표 시장께서 김기현 대표 물러나라고 하는데 이렇게 당이 어려울 때 수습할 생각을 해야지 다 나가라고 하면 누가 수습하나"며 "임명직 당직자들이 일괄사퇴까지 한 마당에 당의 원로께서 이렇게 초를 치는 건 보기 좀 민망하다"고 날을 세웠다.
그러자 홍 시장은 "당 대표가 당무를 잘못해 책임지고 물러나면 원내대표가 직무대행으로 수습을 한다. 당헌에도 그렇게 돼 있고 (여야) 정당은 늘 그렇게 운영돼 왔다"며 "책임져야 할 사람이 물러나지 않고 혼자 남아서 수습하겠다고 우기는 것이 오히려 넌센스인데 그걸 '초 친다'고 표현 한 건 좀 심했다"고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