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명 박찬대 " "대장동 의혹도 우리당에서 먼저 제기...뼈 아프게 생각하고 있다"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이재명 대표 아내 김혜경씨의 ‘법인 카드 유용 의혹을 폭로해 국감 참고인으로 채택된 공익제보자 출석을 막은 더불어민주당 친명 지도부가 “감사 결과 최대 100건까지 사적 사용이 의심돼 (김씨를) 업무상 횡령·배임으로 수사 의뢰했다”고 밝힌 같은 당 소속 김동연 경기도지사에 대해 날을 세운 반면 비명계는 두둔하는 모습을 보였다.
대표적 비명 인사인 이상민 의원은 19일 "(김혜경씨의 법카 유용 의혹에 대해 그동안) 반신반의했는데 그것이 경기도지사의 (국감) 답변으로 드러난 걸 보고 경악을 금치 못했다"며 "(본인들은 아니라고 하지만) 당대표든 누구든 그런 의혹이 제기됐으면 민주당은 이에 대한 진위를 확인하는 절차에 적극 나서서 국민 앞에 사실대로 보고해야 될 의무가 있다"고 당의 적극적인 대응을 주문했다.
이날 sbs라디오 인터뷰에 출연한 이 의원은 "지난번 돈봉투, 코인 등등 사건에도 사실 (당의) 자정기능이 멈춰 서 있었는데 그것은 옳지 않다"면서 이같이 지적했다.
특히 김동연 지사가 차기 대선에서 경쟁관계인 이재명 대표를 의식한 발언이라는 일각의 관측에 대해서는 "김동연 지사가 이것(법카 유용에 대한 감사 결과)을 감춰주고 싶어도 감출 수 있는 사안은 될 수가 없다"며 "경쟁관계나 정략적 관계가 고려됐을 거라고 생각되지 않는다"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왜냐하면 경기도의 공식 감사관에 의해서 이루어진 건데 경기도지사가 어떻게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릴 수 있겠냐"면서 "있는 대로 보고할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반면 친명계 지도부는 법카 유용 의혹에 대한 검찰의 무리한 수사를 성토했다.
박찬대 최고위원은 김지사 발언에 대해 "실제 내용과 제목이 다르게 붙는 경우도 있어 내용을 (자세히) 살펴봐야 된다"고 즉답을 피하면서도 "대선 지나고 지금 2년 가까이 돼가고 있는데 지금의 경찰과 검찰이 이 부분을 얼마나 샅샅이 뒤졌겠냐. 하나도 진전이 없는 상황에서 다시 한 번 소환했고 별다른 내용은 없을 거라고 예상한다"고 말했다.
언론이 '법카를 유용한 감사 결과에 따라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는 김지사 발언을 중시하고 있다'는 지적 역시 "대장동 의혹이 제기된 것도 우리 당에서 먼저 제기됐던 것"이라며 "뼈아프게 생각하고 있다"고 말을 아꼈다.
특히 '법카 유용 의혹이 다시 부상하고 있는 데 대해서는 '이재명 대표를 털어도 털어도 사실 진전이 안 되니까 검찰이 무리한 수사를 하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날 mbc라디오에 출연한 박 최고위원은 "400번의 압수수색이 있었는데도 기각이 되는 상황을 보면서 검찰 수사에 대한 (국민)신뢰가 땅에 떨어진 것 같다"며 "특히 법카 관련해서는 129번의 영업장을 압수수색 한 상태에서 이걸 꺼내는 것은 전형적인 망신주기, 언론플레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박 최고위원은 민주당이 전날 여야 합의로 국감 참고인에 채택된 '법카 제보자'의 출석을 취소시킨 데 대해 진행자가 '굳이 그렇게까지 해야 될 이유가 있었냐'고 묻자 "이것은 누가 보더라도 철저한 정쟁과 관련된 부분이기 때문에 여야 간 합의로 (증인 채택번복을) 이뤄낸 것으로 보인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박주민 원내수석부대표는 "정확히 이야기하면 김동연 지사가 부임해서 감사했다는 내용이 아니라 김 지사가 부임하기 전 경기도 자체 감사 결과를 설명한 것"이라며 "그 부분은 수사기관이든 살펴보면 된다"고 김 지사의 국감 발언이 확대해석 되는 것을 경계했다.
이날 KBS라디오에 출연한 박 수석부대표는 '(사실여부에 대해) 민주당이 자체적으로 조사하거나 확인된 게 혹시 있냐'는 진행자 질문에 "민주당 차원에서 조사하거나 이런 건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이 같이 밝혔다.
민주당 소속 박지원 전 국정원장도 "지금 이재명 대표 부인, 김혜경 여사 법카 문제는 얼마 전에 끝난 것을 이제 다시 소환해 수원지검에서 어쩌고 저쩌고 이런 것은 안 된다"면서 "야당탄압, 이재명 죽이기"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박 전 원장은 cbs인터뷰에서 "서울중앙지검에서 대북 송금 등 영장이 기각되니까 다시 수원지검 2차장 산하에서 대북송금과 법카를 다시 수사한다"면서 이같이 주장했다.
앞서 김 지사는 지난 17일 국회 행정안전위의 경기도 국감에서 ‘취임 이후 법인 카드 사용에 대해 자체 감사를 한 적이 있느냐’는 국민의힘 정우택 의원 질의에 대해 “감사를 하고 수사 의뢰했다”고 답했다.
이어 “감사 결과 최소 61건에서 최대 100건까지 사적 사용이 의심돼 업무상 횡령·배임으로 경찰청에 (수사 의뢰했다)”면서 “감사는 제가 취임하기 전 이미 다 이뤄졌다”고 강조했다.
김혜경씨의 법인카드 유용 의혹은 이 대표의 경기지사 시절 아내 김씨가 비서 배모씨를 시켜 초밥, 샌드위치, 과일 등 사적 물품을 관사나 자택으로 배달시키면서 경기도 법인 카드를 썼다는 혐의다. 앞서 배씨는 김씨가 당 관련 인사들과 한 오찬 비용을 경기도 법인 카드로 결제한 혐의 등으로 작년 8월 1심에서 징역 10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고, 김씨에 대한 수사는 현재 진행 중이다.
한편 이 대표 팬 카페인 ‘재명이네마을’에서는 “누구 덕에 지사 됐는데 이제 와서 뒤통수를 친다” “대표에 대한 배신은 정치생명 죽음” 등 김 지사를 겨냥한 험한 반응이 이어졌다.
특히 작년 6월 지방선거 이후 김 지사가 전임자였던 이 대표와의 차별화를 시도하면서 생긴 불편한 분위기가 반영된 결과라는 추측도 제기됐다. 김 지사가 인수위 때부터 이 대표 측 인사들을 배제했고 정책 면에서도 이 대표가 추진했던 사업을 중지하거나 이름을 바꾸는 등 ‘이재명 지우기’를 진행했다는 것이다.
논란이 커지자 경기도는 전날 “김 지사가 국감에서 말한 내용은 작년 4월 취임 전에 끝난 감사 결과를 말한 것뿐이고 경기도 홈페이지에 이미 다 공개된 내용"이라고 해명했으나 경기도청 홈페이지에 올라온 감사보고서에는 사건 당사자 이름은 물론 유용 건수나 금액 등 모든 정보가 비공개 처리돼 있었다.
이런 가운데 법카 유용의혹과 관련해 지난 10일 정무위 전체 회의에서 국감 참고인으로 채택됐던 공익신고자 조명현 씨 출석이 전날 오전 전격 무산된 데 대해 국민의힘과 민주당이 엇갈린 주장을 펴고 있어 주목된다.
실제 장예찬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이재명 대표의 갑질과 공금횡령이 주목받는 게 두려워 민주당 국회의원들이 똘똘 뭉쳐 공익제보자의 국감 출석을 막았다"고 주장한 데 대해 민주당 정무위 소속 의원들은 "국민의힘이 자발적으로 참고인 신청을 철회한 것"이라고 맞섰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