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유시민 전 노무현 재단 이사장 등이 참여한 것으로 알려진 '민들레'와 최근 '청담동 술자리 의혹 폭로'로 가짜뉴스' 논란의 중심에 서 있는 '더탐사' 등 일부 친야 매체가 유족의 동의 없이 무단으로 '핼러윈 참사' 사망자' 명단을 공개했다가 여론의 뭇매를 맞는 형국이다.
정진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16일 페이스북에 "사랑하는 가족을 잃고 극심한 고통 속에 있는 분들을 이용했다는 점에서 언론과 정치의 탈을 쓴 가장 비열하고 반인권적인 폭력"이라며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했다.
정 위원장은 "이들이 공개한 준비위원 명단에는 김민웅 촛불행동 대표, 곽노현 전 서울시교육감 등이, 칼럼진으로는 유시민 전 노무현재단 이사장 등 정치적 편향성을 강하게 보여온 인물들이 이름을 올렸다"며 "시민언론'을 자처하는 '민들레'의 정체가 무엇이고, 이들이 희생자들을 이용해 무엇을 이루고자 하는지 엄정하게 법적 도의적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유족의 뜻을 확인하고 공개하는 기본 중의 기본도 지키지 않고, '일단 공개할테니 원치 않으면 사후에 연락하라'는 태도를 취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정 위원장은 전날에도 페이스북에 “최근 민주당은 완전히 이성을 상실한 것으로 보인다”며 “중대범죄 혐의를 받고 있는 이 대표를 지키기 위해 민주당이 이태원 참사 희생자들 명단 공개에 앞장 섰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 대표부터 나서서 주장했고 당직자라는 사람들이 희생자들과 유족들의 인권은 아랑곳하지 않고 ‘명단 공개’를 합창했다”며 “결국 친민주당 매체에서 유족의 동의 없이 희생자 명단을 공개했다. 국민의 인권 보호에 앞장서야 할 공당으로서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일을 벌이고 있다”고 비난했다.
권성동 의원도 페이스북에 “민들레에 참여한 유시민 씨는 ‘증거보존’같은 궤변을 일삼았던 사이비 지식인이고 '더탐사'는 청담동 술자리 음모론을 유포했던 대국민 사기극의 주역”이라며 “이런 사이비 집단이 사망자를 자의적으로 전시해놓고, 감히 ‘애도’라고 우기고 있다”고 날을 세웠다.
그러면서 “이(재명) 대표는 명단을 공개하자고 운을 띄웠는데 명단 무단 게재가 국민적 비판에 직면하자, 또 선을 그었다”며 "타인의 죽음 앞에서 이처럼 말을 자주 바꾸는 이유는 단 하나, 계산하기 때문”이라고 성토했다.
유승민 전 의원도 "도덕적으로 비난받아 마땅하다”며 명단 공개에 대한 더탐사와 민들레의 법적 책임을 촉구했다.
그는 “세상에 어떤 참사든 유가족들이 원치 않으면 이름도 얼굴도 공개되어서는 안된다. 그것이 법치이고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지키는 것”이라며 민주당과 이재명 대표는 더탐사와 민들레의 명단 공개에 대한 분명한 입장을 밝힐 것을 요구한다”고 촉구했다.
하태경 의원도 “유족 동의 없는 명단 공개는 개인정보보호법을 위반한 명백한 인권범죄”라며 "위법인 줄 뻔히 알면서도 명단 공개를 촉구한 이재명 대표와 민주당도 국민의 지탄을 받을 것”이라고 규탄했다.
특히 “희생자 명단 유출과 민들레 측의 입수 경위에 대해 즉각 수사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민주당을 비롯한 야권에서도 역풍을 우려하며 비판의 목소리를 이어갔다.
실제 문재인 정부 때 임명된 국가인권위원장, 국민권익위원장 등도“부적절하다”면서‘우려의 입장을 표명했고 민주당 내부에서도 "잘못된 선택"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송두환 국가인권위원장은 전날 국회 예결위에서 ‘희생자 명단 공개가 공공의 알권리 영역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의에 “굉장히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가장 중요한 것은 피해자 가족들의 입장을 배려하지 않은 채 명단이 공개됐다고 하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도 “피해자와 그 유가족들의 의사가 존중되어야 된다”고 말했고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도 “유족의 위임을 받은 대리인으로서 희생자 유족의 진정한 동의 없이 명단을 공개하거나 공개하려는 것에 깊은 우려를 표한다”고 했다.
민주당 노웅래 의원은 “명단 공개는 당사자인 유족 입장이 우선돼야 되는 것 아닌가”라며 “유족 입장과 다르게 공개하는 건 법적-도덕적 책임을 져야 한다”고 했고 강훈식 의원도 “결과적으로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하지만 당내 강경파 20여 명의 의원들은 희생자들의 실명을 담은 ‘온라인 기억관’ 개설을 추진하고, 국회 본청 앞에 천막을 설치해 유가족 협의체 구성을 돕겠다는 등 장외 투쟁을 시사하고 있어 자중지란이 예상된다는 지적이다.
한편 지난 9일 최고위원회의에서 희생자 명단 공개를 공식 제안하면서 물꼬를 텄던 이재명 대표는 별다른 입장을 밝히지 않아 눈길을 끌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