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내부총질은 이적행위” 단속에 이상민 "반민주적" 반발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3-01-16 15:01:3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李 사법적 의혹, 본인이 해결해야" 당내 일각 "대표직 정지" 지적도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이상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재명 대표가 “싸우는 건 좋은데 우리끼리 싸우는 건 안 된다. 그건 이적행위”라고 규정한 데 대해 16일 “반 민주적"이라고 반발했다.


이날 오전 SBS라디오에 출연한 이 의원은 “이(재명) 대표에 대한 비판도 내부총질로 보는 것이냐"며 이같이 지적했다.


앞서 이 대표는 지난 13일 오후 서울 여의도 민주당사 당원존에서 진행된 유튜브 방송에서 “작은 차이 때문에 내부 총격을 하지 말자"며 "우리 안의 차이가 아무리 크다고 해도, 싸워서 이겨야 할 상대와의 차이만큼 크겠느냐”고 내부결속을 강조했다.


특히 “기득권의 분할 지배 전략은 정말 신경써야 할 부분”이라며 “이건 아주 많이 써먹는 수법이다. 역사적으로도 가장 돈 안 들고 효과적 전략이 ‘이간질’”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이 대표는 이날 함께 출연한 측근 박찬대 최고위원이 “탄압이 더욱 강해지고 있다. 함께 싸울 준비 돼 있느냐”고 독려하자 “우리끼리 싸우는 건 정말 꼭 피해야 한다. 적이 몰려오는데, (우리끼리) 침 뱉고 꼬집고 안 보이는 곳에서 발로 차고 이런 것을 줄여야 한다. 우리 모두를 망치는 일”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이처럼 최근 들어 당의 '단일대오'를 수시로 강조하고 있는 이 대표에 대해 ‘제3자 뇌물죄’ 혐의가 적용된 ‘성남FC 불법 후원금 사건’으로 기소됐을 때 생길지 모르는 당내 갈등·분열 상황을 우려하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앞서 이 대표는 지난 13일 유튜브 라이브 방송에서 “지금 엄중한 시기다. 적이 몰려오는데 싸우고, 안 보이는 데서 침 뱉고 발로 차는 것을 줄여야 한다. 작은 차이 때문에 내부 공격하지 말자”고 당부했다.


이에 대해 이상민 의원은 “누구든지 비판을 받는, 특히 지위가 높아질수록, 권한이 많아질수록 비판의 대상”이라며 “민주당 당 대표는 내부에서 비판의 최고의 대상자가 돼야 한다"고 반발했다.


이어 "윤석열 대통령도 이준석 전 국민의힘 당 대표를 내부총질 하는 당 대표로 만들어 내쫓았지 않았나. 얼마나 반민주적이고 퇴행이냐"며 "더불어민주당은 민주당”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이 의원은 당내 비판을 ‘이적 행위’로 빗댄 이 대표에 대해 "그걸 왜 싸운다고 생각하냐'고 반박하면서 "상호 비판한다고 생각한다. 그중에 자양분 같은 것은 받아들이고 다시 한번 돌아보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 대표를 둘러싼 ‘사법 리스크’ 해결은 온전히 이 대표의 몫이라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결국은 사법적 의혹을 해소하는 데 본인이 적극적으로 초집중해서 나서서 해결해야 한다”며 “이 문제를 해결할 사람은 이재명 대표하고 주변 인물 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당에서 조사받으러 갈 때 같이 합세해서 그 세력을 과시한다고 해도 그건 정치적 세를 보여주는 것에 불과할 뿐 사실 해결점은 아니다”라며 “(검찰 출두 때도) 당연히 혼자 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앞서 이 대표는 지난 10일 ‘성남FC 불법 후원금 의혹’으로 검찰 조사를 받을 때 40명 넘는 현역 의원이 동행하자, 국민의힘은 물론이고 민주당 내에서도 “이 대표가 민주당을 방탄에 이용하는 측면이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런 가운데 이 대표의 ‘사법 리스크’에 대한 민주당 내 우려가 계속 커지는 상황이어서 주목된다.


특히 앞으로 이 대표가 당장 성남FC 사건으로 기소돼 재판에 넘겨지면, ‘뇌물과 불법 정치자금 수수 등 부정부패 혐의로 기소된 당직자의 직무를 정지’하게 돼 있는 당헌 80조가 논란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검찰이 성남FC 사건에서 이 대표에 적용한 혐의는 ‘제3자 뇌물죄’로 당헌에 따르면 이 대표의 당직은 정지돼야 한다.


앞서 박용진 민주당 의원은 지난 12일 CBS 라디오에 출연해 “이재명 대표를 둘러싼 수사 내용을 잘 모른다. 우리 의원들도 다 모른다”면서도 “다만 당헌 80조가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개인 사법리스크의 불길이 당으로 옮겨붙지 않도록 하기 위한 안전장치가 바로 당헌 80조”라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이번 사건이 검찰의 ‘기획 수사’라는 입장이지만 당내에서 당헌80조를 이유로 ‘당직 정지’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거세질 수 있다.


이 대표가 거듭 내부 총질을 경계하고 나서는 것도 이를 우려한 결과라는 관측도 나온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