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여영준 기자]최근 북한군 귀순 병사를 집도한 이국종 아주대병원 교수가 권역별 중증외상센터에 대한 지원 확대를 호소한 이후 외상센터가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정부 지원이 강화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계속해서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대한외상학회장을 지낸 한호성 분당서울대병원 교수는 27일 오전 YTN <신율의 출발 새아침>과의 인터뷰에서 “위중한 환자를 살려내는 보람있는 직업임에도 불구하고 굉장히 열악하다”고 밝혔다.
한 교수는 “현재 병원에서는 권역외상센터를 재정의 손실을 일으키는 주범으로 생각하고 있다”며 “실제 병원에서 받는 의사나 혹은 간호사, 응급구조사가 받는 대우가 아주 형편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앞으로 외상외과 같은 걸 하려고 하는 의사도 줄고, 또 간호사도 대우가 나쁘다는 걸 아니까 잘 안 오려고 하고, 강도 높은 일을 함에도 불구하고 병원에서 받는 대우가 나쁘니까 점차 떠나거나 들어오지 않고 있어서 인력의 부족도 심각하다”고 털어놨다.
그는 정부 지원 문제에 대해서는 “현재 정부가 처음에 권역외상센터를 약속했을 때의 지원금의 많은 액수가 줄었고, 요새 계속해서 인력을 위한 인건비를 의사들에 지원하고 있는데 현재 의사들이 다 채워지지 않고 있다”며 “또 경남 지역에서는 권역센터 지정이 하나도 안 되니까 자꾸 예산이 삭감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수가 문제인데, 권역외상센터와 똑같은 규모의 병원이라면 수술 환자가 한달에 수백명씩 수술을 하게 되지만 권역외상센터는 기능이 보통 병원과 다르다. 한명의 중환자를 살리기 위해 수많은 인력들이 대기하고 있다”며 “실제로 한달에 수술하는 건수가 스무건 정도밖에 안 되는데, 똑같은 수가를 받아서는 경영을 할 수가 없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