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스는 이명박 전 대통령이 실소유주라는 의심을 받는 곳이다.
서울 동부지검에 꾸려진 '다스 횡령 등 의혹 고발사건 수사팀'은 17일 오전 경북 경주에 있는 다스 협력업체 IM(아이엠)과 관련자 사무실·주거지 등을 압수수색했다고 밝혔다.
앞서 수사팀은 지난 11일 경북 경주시 다스 본사와 이상은 다스 회장의 자택, 이 회장의 자금을 관리해온 것으로 알려진 금강 대표이사 이 모씨의 사무실 등 10곳에 대해 압수수색 한 바 있다.
이번 압수수색은 본사 등을 압수수색한 지 6일 만이다.
수사팀은 이번 압수수색의 구체적인 대상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으나, 다스 120억 자금의 실체를 규명하기 위한 압수수색이라는 것이 수사팀 관계자의 설명이다.
수사팀은 계좌추적과 앞선 압수수색에서 확보한 자료 등에서 다스의 자금이 IM 등 협력업체로 흘러들어 간 정황을 파악한 것으로 보인다.
IM은 2006년 3월 설립된 자동차 부품 제조 업체로, 이 전 대통령의 친형 이상은 다스 회장의 아들인 이동형씨가 이 회사 주식의 49%를 보유한 최대주주로 알려져있다.
수사팀은 이번 압수수색을 통해 확보한 장부와 하드디스크 등 디지털 자료, 관련 문건들을 검토·분석한 뒤 관계자를 소환해 조사를 벌일 전망이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박범계 적폐청산위원장은 지난 10일 최고위원회의에서 "IM의 회장은 이상은 대표이고 실질적 사주는 (그의 아들인) 이동형씨"라며 " "이 회사의 계좌로 2009년 10월과 12월, 2010년 2월 총 4차례에 걸쳐 9억원이 입금된다. (이 과정에서) 증여세 포탈 의혹이 있어 보인다"고 말한 바 있다.
당시 박 위원장은 "이상은 대표가 실질적 사주라면, 또 당시 다스의 이사가 이동형씨라면 이런 회사를 설립할 이유가 없다"면서 "다스가 남의 것이어서 아들을 먹게 살게 해주려고 협력사를 설립했고 아버지가 아들에게 9억원을 입금해줬단 것이고, 이는 결국 다스의 주인이 따로 있다는 강력한 방증"이라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