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수시모집 '수능 최저학력기준' 폐지 권고

이대우 기자 / nice@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8-03-26 10:00:0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수시모집 · 수능 확실히 나눠 수험생 부담 줄여야"


▲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지난 23일 오전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인사말 하고 있다.(사진제공=연합뉴스)

[시민일보=이대우 기자]2019년 수시모집에서 대학수학능력시험 최저학력 기준을 적용하지 않거나 완화하는 대학이 늘어나 수시에서 수능의 영향력이 더욱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이는 교육부가 최근 각 대학에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세부사항을 안내하며 수능 최저학력 기준 폐지를 권고하면서다.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은 대학이 고교교육을 내실화하고 학생·학부모의 부담을 줄이는 방향으로 입학전형을 바꿀 경우 교육부가 2년간 입학사정관 인건비, 전형 연구·운영비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25일 교육계에 따르면 각 대학에 발송한 안내문에서 교육부는 “수험 부담 완화 측면에서 폐지를 권장한다”며 “수시모집 내 수능 최저학력 기준 축소·폐지는 (사업 대상 선정 과정에서) 중요한 평가요소”라고 강조했다.


2016년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에 수험생들이 선호하는 대학이 다수 포함됐던 점을 비추어보면 사실상 정부가 대학가에 수능 최저학력 기준 폐지를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는 모양새다.


교육부 대입정책과 관계자는 “비슷한 평가항목이 이전에도 있었지만 최저학력 기준 폐지·축소 여부를 중점적으로 보겠다는 정부의 정책적 의지를 전달하고자 대학에 배포한 질의응답 형식 자료에 이 부분을 강조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4년제 대학들은 2018학년도 입학전형에서 전체 모집인원의 70% 이상을 수시모집으로 선발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학종 비율이 높은 대학도 수능 최저학력 기준을 걸고 있어 사실상 수능의 영향력이 막강하다”며 “정·수시 분리 상태에서는 수시모집과 수능을 확실히 나누는 것이 학생들의 부담을 줄이고 입시를 단순화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