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하승 칼럼

Search: 5,428건
총리와 시장
시민일보 2003.03.04
{ILINK:1} 지난 대선 당시 본란 필자는 의심암귀(疑心暗鬼)라는 고사성어를 인용, ‘병풍(兵風)’과 관련해 한나라당과 민주당이 서로 주고받는 공방전을 빗대어 쓴 일이 있다. 그 고사성어를 이번에 또 한번 인용해야 할 일이 생겼다. 한비자의 ‘세난편’에 보면 다음과 같은 재미있는 이야기가 나온다. 송나라에 한 부자 ...
‘길로틴’이 두려운가
시민일보 2003.03.03
{ILINK:1} 홍준표 의원이 ‘앙시엥 레짐’을 거론했다. 한나라당이 앙시엥 레짐(Ancient Regime)의 누명을 쓰고 구세력으로 몰락할지 아니면 새로운 변화의 물결을 창조적으로 수용해 대안세력으로 거듭날지를 모색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금 앙시엥 레짐이라고 하면 통상적으로 ‘낡은 제도’를 의미하는 단어로 사용되 ...
민노당 3주년
시민일보 2003.03.02
{ILINK:1} 민주노동당이 창당 3주년을 맞았다. 민노당은 지난해 6.13지방선거 정당투표에서 8.1%의 득표율로 자민련을 제치고 3위를 차지한 데 이어 16대 대선에서도 95만7148표(3.9%)를 얻은 여세를 몰아 17대 총선에서 원내진출의 숙원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삼을 만큼 ‘훌쩍’커버렸다. 3년만에 마치 ...
신주류 天下
시민일보 2003.02.28
어느날 경춘(景春)이란 사람이 맹자를 찾아와 이렇게 물었다. “공손연과 장의는 참으로 대장부 중의 대장부가 아니겠습니까. 그들이 한번 성을 내면 제후들이 행여나 싶어 겁을 먹고, 그들이 조용히 있으면 온 천하가 다 조용합니다.” 사실 공손연과 장의는 역사적으로도 유명한 맹자 당시의 변사들이다. 경춘의 말과 같이 그들이 ...
내리막길 조심
시민일보 2003.02.25
{ILINK:1} 제16대 노무현 대통령의 취임식장에는 김대중 김영삼 노태우 전두환 최규하 전대통령 등 5명의 전직 대통령이 나란히 자리했다. 이들은 지난 15대 대통령 취임식 당시 무거운 표정을 보여줬던 것과는 달리 밝은 표정으로 간간이 미소까지 지어가면서 여유롭게 자리를 잡았다. 노 대통령의 취임사때 김대중 전 대 ...
巨物과 古物
시민일보 2003.02.23
{ILINK:1} “지난 16대 대선은 한나라당과 민주당간 대결이 아니라 사회 주류 교체가 본질이었다.” 이는 성공회대 조희연 교수가 최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노무현 새정부 탄생의 의미를 두고 설명한 말이다. 물론 그의 해석에 논란의 여지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새 정부가 국민참여와 시대교체라는 흐름을 타고 등장한 ...
曲突徙薪의 심정으로
시민일보 2003.02.20
{ILINK:1} 방환미연(防患未然)은 ‘화를 당하기 전에 재앙을 미리 방지한다’는 뜻이다. 이 고사성어의 어원은 이렇다. 어느 날 부잣집에 객이 찾아들었다. 객은 그 집의 굴뚝이 너무 곧게 세워져 굴뚝을 통해 빨려 나가는 불길이 너무 강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게다가 굴뚝 바로 옆에는 섶나무가 높게 쌓여 있어서 언제 ...
공무원의 귀감
시민일보 2003.02.19
경기도 부천시가 산하 정책개발단 직원들의 적극적인 노력으로 수백억원대의 재정을 확대하고 문화영상단지를 조성하게 됐다는 소식은 이미 공무원들 사이에서 잘 알려진 사실이다. 복지부동이 마치 공무원들의 대명사처럼 인식되어 있는 상황에서 부천시 공무원들의 이런 노력은 타 기관에 충분히 귀감이 될만한 일이다. 부천시는 지난 96 ...
지방분권과 공천
시민일보 2003.02.16
{ILINK:1} ‘무늬만 지방자치’인 현행 지방자치를 명실상부한 자치로 끌어올리기 위한 작업이 새정부 출범을 앞두고 이미 ‘팡파르’를 울렸다. 전국의 자치단체와 지방언론, 지방대학, 시민단체들도 국가발전과 사회 전반의 총체적 개혁을 위해 지방분권을 ‘필요조건’으로 인식, 공론화하고 나서기 시작했다.따라서 지방분권은 ...
夏爐冬扇
시민일보 2003.02.13
{ILINK:1} 재야시절부터 가깝게 지내던 개혁성향의 정치인들이 최근 곳곳에서 중용되는 모습을 바라보면서 격세지감(隔世之感)을 느낀다. 이것이 곧 지각변동(地殼變動)이요 상전벽해(桑田碧海)아니겠는가. 그들의 꿋꿋한 노력이 이제야 제대로 평가를 받는 같아 기쁘기 그지없다. 그 가운데서도 가장 눈에 띄는 사람들은 바로 ...
兵家常事
시민일보 2003.02.12
{ILINK:1} 정당개혁을 향한 각 당의 움직임은 온갖 어려움 속에서도 일보(一步)씩 눈에 띄게 앞으로 나아가고 있다. 대선후 당내 진통과 갈등을 수반한 쇄신논의 과정에서 이처럼 정치제도 개혁을 위한 가시적 성과가 하나둘 나타나고 있는 현상은 상당히 고무적인 일이다. 물론 예상했던 대로 기득권 세력들의 반발이 잇따르 ...
돌아올 수 없는 다리
시민일보 2003.02.11
{ILINK:1} ‘영원한 재야’로 불리다 지난해 8.8 재보선 출마를 위해 민주당에 입당한 장기표 영등포을 지구당위원장이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를 비판하며 지구당위원장 사퇴의사를 표명했다. 본란 기자는 그와 개인적으로 ‘끈끈한’ 인간관계가 있다. 그도 그런 점에 대해서는 스스럼없이 인정하고 있다. 언젠가 타사 정치부 기 ...
거꾸로 가는 서울시
시민일보 2003.02.10
{ILINK:1} 지금 청와대가 기자단제도를 폐지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아가고 있다. 기자단의 정보 독점화로 인해 특정 언론에 대한 여론 독점현상이 발생하는 등 각종 폐단을 안고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이에 앞서 지방자치에 대한 선구자적 안목을 갖고 있는 일부 지방자치단체는 전국지 중심으로 운영되는 기자실을 지방지 중심의 ...
전국지와 지방지
시민일보 2003.02.09
{ILINK:1} 지금 우리나라의 전국지와 지방지 비율은 약 1대 7이다. 전국지는 조선·중앙·동아·한국·문화·국민·세계일보와 한겨레·경향신문, 대한·전국매일 등 11개사가 존재하는 반면, 지방지는 시민일보 등 무려 70여개사가 존재하고 있다. 그런데 수익률은 역으로 전국지 11개사대 지방지 70개사가 7대 1의 비율 ...
民靑學聯
시민일보 2003.02.06
{ILINK:1} 중국 후한(後漢)초기 반초(班超)가 36명의 장사들을 이끌고 선선국에 사신으로 갔을 때의 일이다. 선선국의 왕은 처음에 반초 일행을 극진히 대접했으나, 어느 날 갑자기 이들을 냉대하기 시작했다. 그 사연을 알아본 즉 흉노족 사신이 수백명의 일행을 이끌고 선선국으로 왔기 때문이었다. 당시 선선국은 한나 ...
지방자치와 지방지
시민일보 2003.02.05
{ILINK:1} 지방지는 통상적으로 기초자치단체를 구독대상으로 하는 주간신문인 지역신문과 대비, 광역자치단체를 구독대상으로 발행되는 지방일간지를 말한다. 그런데 이 지방지의 대부분이 고사 위기에 놓여 있다. 이런 현상이 초래된 것은 사실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90년대 말 통계만 보더라도 지방지의 평균 납입 자본금과 ...
罪와 罰
시민일보 2003.02.05
{ILINK:1} 중국 조나라에 조사라는 세무관리가 있었다. 어느 날 조사는 식객을 3000명이나 거느린 것으로 유명한 평원군의 집에서 나라에 바치는 세금을 내지 않는다며 세금 납부를 독촉했다. 그러나 세금 담당과 책임자는 평원군의 세도를 믿고 그의 명을 듣지 않았다. 조사는 조세를 횡령했다는 죄목으로 세금 당당자와 ...
毛遂自薦
시민일보 2003.02.03
{ILINK:1} 재주를 품고 있으면서도 남이 추천해 주는 사람이 없어 기다리다 못해 스스로 자청해 나서는 경우를 일러 ‘모수자천(毛遂自薦)’이라고 한다. 지금은 다소 염치없이 자기를 내세우는 사람을 비웃을 때 사용되는 고사성어다. 어느날 진나라의 군대가 조나라의 도읍 한단을 포위했다. 다급해진 조나라는 평원군을 파 ...
개혁정당 창당 논의
시민일보 2003.01.29
{ILINK:1} 겉이 달라졌다고 해서 속까지 달라진 걸로 알고 있는 사람을 가리켜 ‘양포지구(楊布之狗)’라고 한다. 이는 한비(韓非)가 자기학설을 주장하기 위해 만들어 낸 이양기 중에 나오는 말이다. 어느날 양주의 아우 양포가 아침에 나갈 때 흰옷을 입고 나갔는 데, 돌아올 때는 비가 쏟아지는 터라 검은 옷으로 갈아입 ...
지방지다운 지방지
시민일보 2003.01.28
{ILINK:1} 시민일보는 창간 당시부터 ‘수도권 지방지’를 선언했다. 이는 ‘지방지다운 지방지’를 만들겠다는 선언인 셈이다. 시민일보가 1면에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지역 뉴스와 지방자치제도 관련 뉴스만 다루는 새로운 편집 모델을 실시할 때만 해도 독자들로부터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 ...